Yoguter12의 사진 연습장 겸 교통 잡학사전(?)

데스크톱 사이트로 읽으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Yoguter12 자세히보기

교통 잡학사전(?)/궤도교통

철도차량의 MT비에 대해서

yoguter12 2024. 6. 17. 07:00
728x90

MT비는 뭐일까?
열차의 편성 구조를 설명할 때는 연결되어있는 차량의 종류에 따른 기호를 사용한다.

먼저 그 기호부터 알아보자.

기호:
M Motor car, 동력차
T Trailer car, 무동력차
Mc Motor Control, 동력제어차
Tc Trailer Control car, 무동력제어차
Pc Power Car, 동력기관차
L Locomotive, 기관차
' 팬터그래프

MT비는 저기서 동력이 있는 차와 동력이 없는 차의 비율을 말하는거다. 예를들어, 무동력제어차-동력차-집전장치가 있는 동력차 - 무동력제어차 구조의 편성을 설명할 때는 Tc-M-M'-Tc로 나타낸다. M과 T의 갯수를 세어보면 2M 2T이다. 저렇게 써두기만 하면 어려우니 그냥 바로 예시를 들고와서 설명을 해보겠다.

먼저 전철부터 가보자.
BTC 1000 1세대
무려 6M 2T를 자랑하는 부산 1호선 1세대 전동차를 보자. MT구성이 Tc-M'-M-M'-M-M'-M-Tc 이렇게 되어있다. 맨 앞과 맨 뒤는 Tc, 무동력제어차(전동기가 없는 객차+운전실)로 이루어져 있고 중간차는 M'-M이 반복된다. 위에 써놨지만 M은 동력차이다. 즉, 2~7호차는 동력차로 반복되고 2, 4, 6호차는 팬터그래프가 달려있다.

Tc-M'-M-M'-M-M'-M-Tc

출처:

BTC 3000 1세대
이번엔 부산의 3호선을 보자. MT비는 2:2, MT구성은 Tc-M'-M'-Tc다. 무동력제어차-동력차(팬터) -동력차(팬터)-무동력제어차다.

Tc-M'-M'-Tc

출처:

 
BGL 1000 1세대
이번엔 부산김해경전철을 보자.
2M 0T이며 Mc-Mc로 구성되어 있다.
동력제어차-동력제어차로 구성되어 있다.
팬터그래프가 없는데 어떻게 움직이냐고요?
제3궤조 집전식의 경전철이라 팬터그래프가 없다.

제3궤조란 뭐냐?
보통 전기철도는 선로 위의 가공전차선을 통해 전기를 공급받는데 일부 경우는 철도 옆의 또 다들 선로를 통해 전기를 공급받는다. 한국의 AGT는 모두 제3궤조를 사용한다. (부산-김해경전철, 신림선, 우이신설선, 김포 골드라인, 부산 4호선, 인천 2호선 등)

출처:



코레일 31×000호대
MT비는 5M 5T이고 MT구성은 Tc-M-M'-T-M'-T-T-M-M'-Tc인 수도권의 전철 1호선을 봅시다
무동력제어차-동력차-동력차(팬터)-무동력차-동력차(팬터)-무동력차-무동력차-동력차-동력차(팬터)-무동력제어차로 구성되어 있다.

코레일 381000호대
동해선 광역전철에 투입되는 2M 2T, Tc-M'-M'-Tc의 전동차다.
어떻게 구성되어 있을까?

더보기

무동력제어차-동력차(팬터)-동력차(팬터)-무동력제어차

 
AREX 1000/2000호대
3M 3T이며, Tc-M-M'-T-M'-Tc이다.
구성은..?

더보기

무동력제어차-동력차-동력차(팬터)-무동력차-동력차(팬터)-무동력제어차

 
KTX
2L 2M 16T짜리 KTX를 보자
Pc'-M-T-T-T-T......T-T-T-T-M-Pc'
팬터그래프가 달린 동력 기관차가 앞 뒤 끝에 있고 기관차 바로 뒤에는 동력차가 달려있다. 그 사이에는 그냥 객차로 16칸을 채웠다.
 
KTX-청룡
6M 2T이며 Tc-M'-M-M-M-M-M'-Tc인 동력분산식 고속열차는 구성이 어떨까요?

더보기

무동력제어차-동력차(팬터)-동력차-동력차-동력차-동력차-동력차(팬터)-무동력제어차

끄읕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