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guter12의 사진 연습장 겸 교통 잡학사전(?)

데스크톱 사이트로 읽으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Yoguter12 자세히보기

교통 잡학사전(?) 7

철도차량의 MT비에 대해서

MT비는 뭐일까? 열차의 편성 구조를 설명할 때는 연결되어있는 차량의 종류에 따른 기호를 사용한다. 먼저 그 기호부터 알아보자.기호: M Motor car, 동력차 T Trailer car, 무동력차 Mc Motor Control, 동력제어차 Tc Trailer Control car, 무동력제어차 Pc Power Car, 동력기관차 L Locomotive, 기관차 ' 팬터그래프 MT비는 저기서 동력이 있는 차와 동력이 없는 차의 비율을 말하는거다. 예를들어, 무동력제어차-동력차-집전장치가 있는 동력차 - 무동력제어차 구조의 편성을 설명할 때는 Tc-M-M'-Tc로 나타낸다. M과 T의 갯수를 세어보면 2M 2T이다. 저렇게 써두기만 하면 어려우니 그냥 바로 예시를 들고와서 설명을 해보겠다. 먼저 전철부터..

한국 여객열차 이름의 숨겨진 뜻

새마을호, ITX-청춘, KTX-이음 제외 전부 본인 촬영 무궁화호 초기의 우등열차가 무궁화호로 이름이 바뀌었다. 1977년 8월 13일에 우등열차로 시작했다. 1984년 1월 1일에 무궁화호로 이름이 바뀌었다. 누리로 누리(세상)과 로(路)가 합쳐진 말로 온 누리를 달리는 열차를 뜻한다. 2009년 6월 1일에 개통했다. 새마을호 초기의 관광열차가 새마을로 이름이 바뀌었다. 1969년 2월 10일에 관광호로 시작했다. 1974년 8월 15일에 새마을호로 이름이 바뀌었다.출처:더보기https://i.namu.wiki/i/Mkj3odKaJZZ9eq69rfQ-LLhxaVjddHJ4W4G-B4pjlpLOoIpc21UUKhSH0SsHDj__ShqNY06UQBR_rmwaVnx_BY30p8LIw7Id-VfQoeFM..

철도차량의 동력편성 방식

최근에 도입된 KTX-이음, KTX-청룡과 관련된 뉴스를 보면 이 둘은 기존 KTX와는 다르게 동력분산식 열차라고 한다. 도대체 동력분산식 열차는 뭘까? 또, 그러면 기존 KTX는 동력분산식이 아니면 뭘까? 철도차량의 동력 편성 방식에는 동력집중식, 동력분산식, 동력거점식이 있다.출처:한국철도기술연구원 공식 블로그 그러면 동력집중식부터 시작해봅시다. 동력집중식의 대표적인 예시로는 객차형 무궁화호, KTX, KTX-산천 등이 있다. 무궁화호도 동력집중식이라는 것은 모르는 사람들이 꽤 있을 것이다. 동력집중식에도 기관차 견인식, 기관차 추진식, 전후동력식(PP식)으로 3가지가 있다. 무궁화호는 이중 기관차 견인식에 해당한다. 기관차 견인식은 기관차가 객차를 끌고 가는 방식으로 철도 역사상 가장 오래된 방식이..

TGV의 최고속도 실험

출처:더보기https://en.m.wikipedia.org/wiki/TGV_world_speed_record#/media/File%3ACd41-0015g.png위 그림의 열차들이 TGV들이 세운 신기록들이다. 1972년 12월 8일에 SNCF의 시험용 고속열차인 TGV 001이 318km/h라는 기록을 세웠다. TGV 001은 프랑스가 일본의 신칸센을 보고 자극을 받고 만들었다. 위의 그림에 서 볼 수 있듯이 맨 앞칸이 동력차인데 팬터그래프가 없다. 왜 그럴까? 우리는 고속열차는 전기로 돌리는 게 당연하다 생각하지만 놀랍게도 TGV 001은 4개의 가스터빈 엔진으로 구동한다. EADS( European Aeronautic Defence and Space Company, 유럽의 항공우주/방산 기업)의 전신..

시내버스에 안전벨트가 없는 이유

시내버스에는 안전벨트가 없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 이는 주로 안전, 경제성, 실용성 등의 측면에서 고려된 결과이다.출처:https://kixxman.com/seat-belt 법적 규제와 관행 방면에서 보면 많은 나라에서는 시내버스에 안전벨트를 의무화하지 않고 있다. 대한민국의 법을 살펴봅시다.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의 성능과 기준에 관한 규칙 제27조(좌석안전띠장치등) ①자동차의 좌석에는 안전띠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좌석에는 이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1항 2.「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시행령」제3조제1호의 규정에 의한 노선여객자동차운송사업에 사용되는 자동차로서 자동차전용도로 또는 고속국도를 운행하지 아니하는 시내버스ㆍ농어촌버스 및 마을버스의 승객용 좌석 이..

모노레일은 비상상황에 어떻게 대피할까?

모노레일은 사고가 발생하면 어떻게 대피할까?지하철의 경우 선로를 따라 다음 역까지 걸어가거나 일반철도의 경우는 구원열차나 버스 등 연계 교통수단을 기다리면 되지만 모노레일은 어떻게 대피할까?보통 도시철도의 대피는 이렇다출처: 1500명이 터널 따라 대피…홍콩 지하철 한 달 새 두번째 고장홍콩 지하철(MTR) 열차가 고장으로 멈춰선 후 약 1500명의 승객이 터널을 통해 대피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로하스파크역에서 정관오역까지 운행하는 열차의 두 칸을 연결하는 커플링이 꼬여 제 기mbiz.heraldcorp.com보통은 대피 후 다음 역까지 걸어간다 일반 철도의 대피는 이렇다출처: ′탈선한 KTX 열차서 승객을 대피시켜라′ 국가위기 대응연습 실제훈련 | 연합뉴스′탈선한 KTX 열차서 승객을 대피시켜라′ 국가..

철도차량이 미끄러지지 않고 앞으로 나아가는 원리

선로가 눈이나 비에 젖으면 마찰력이 급격하게 떨어진다. 그러면 미끄럼 탓에 바퀴가 헛도는 현상이 나타난다. 또, 갑자기 바퀴에 강한 출력이 걸릴 때 등에도 헛도는 현상이 나타나고, 이 헛도는 현상을 ‘공전현상’이라고 한다.출처:유튜브 Delay In Block® Productions철도차량의 경우 도로를 아무리 잘 닦아도 노면이 거칠고, 그러한 노면을 잘 딛고 달릴 수 있도록 날씨와 기후에 따라 점착력을 늘린 자동차와 달리 철제 바퀴로 매끈한 레일 위를 달리기에 점착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이러한 공전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기차에는 ‘살사장치’라 불리는 차륜과 레일 사이에 모래를 뿌려주는 장치가 달려있다. 살사장치는 기차가 출발하거나 구배를 올라갈 때 모래를 뿌려 점착력을 높여준다. 살사장치는 제동할 때에..

728x90